자유게시판

35개월 규칙 이해가 느린 아이와의 협력 활동

2 동네형 0 1 02.10 01:00

3c245b5bb41810a696eef5c76fc50d12_1739116
35개월(만 2년 11개월) 아이는 아직 규칙을 이해하고 따르는 능력이 완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적절한 방법을 통해 협력 활동을 유도하면 자연스럽게 규칙을 익히고 사회성을 키울 수 있습니다. 아이의 발달 속도를 고려하면서 협력적인 활동을 효과적으로 진행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
3c245b5bb41810a696eef5c76fc50d12_1739116
아이가 규칙을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

아이마다 발달 속도는 다르며, 규칙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도 다양합니다.

  • 인지 발달 차이: 35개월 아이는 아직 논리적인 사고보다 감각적이고 직관적인 사고가 더 발달한 상태입니다.
  • 주의 집중력 부족: 놀이에 집중하는 시간이 짧아 규칙을 배우기 전에 흥미를 잃을 수 있습니다.
  • 언어 이해력 부족: 설명을 듣고 규칙을 이해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.
  • 반복 학습 부족: 규칙을 반복적으로 경험하지 못하면 익숙해지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
  • 자율성 발달: 아이가 자기 뜻대로 하고 싶어 하면서 규칙을 따르기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.

이러한 특성을 이해하고, 아이가 부담 없이 규칙을 익힐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.

3c245b5bb41810a696eef5c76fc50d12_1739116
놀이를 통한 자연스러운 규칙 학습

놀이를 활용하면 아이가 스트레스 없이 규칙을 배우고 협력하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.

1. 역할 놀이 활용하기

  • 인형 놀이, 가게 놀이, 병원 놀이 등 역할을 나누어 하는 놀이를 통해 차례를 지키는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.
  • "손님은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해." 같은 간단한 규칙을 제시하고 반복적으로 경험하게 합니다.

2. 간단한 보드게임 시도하기

  • 카드 짝 맞추기, 주사위 굴리기 같은 간단한 게임을 하면서 "기다렸다가 내 차례에 하면 돼"라는 개념을 익히게 합니다.
  • 규칙을 이해하지 못하면 직접 시범을 보이면서 천천히 설명합니다.

3. 신체 놀이로 순서 익히기

  • "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" 같은 게임을 하면서 규칙을 자연스럽게 배우게 합니다.
  • "신호등 놀이"를 하면서 빨간불일 때 멈추고 초록불일 때 가는 규칙을 익히게 합니다.

4. 간단한 협력 놀이

  • 블록 쌓기 놀이를 하면서 "한 번씩 번갈아 쌓자"고 약속하며 차례를 지키는 연습을 합니다.
  • 함께 그림을 그리면서 "너는 하늘을 그리고, 나는 나무를 그릴게"라고 역할을 나누어 협력하는 경험을 제공합니다.

3c245b5bb41810a696eef5c76fc50d12_1739116
긍정적인 피드백과 반복 학습

규칙을 배우는 과정에서 아이가 실수하더라도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고 반복해서 연습할 기회를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.

1. 짧고 쉬운 규칙 사용하기

"기다려!", "차례야!", "멈춰!" 등 짧은 단어를 활용하여 아이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.

2. 행동을 강화하는 칭찬 활용하기

  • 규칙을 잘 지켰을 때 "잘 기다렸어!", "순서를 잘 지켰구나!" 같은 칭찬을 해줍니다.
  • 아이가 긍정적인 경험으로 받아들이도록 즐겁게 반응해 줍니다.

3. 실수해도 기회 주기

  • 아이가 규칙을 지키지 못하더라도 강하게 지적하기보다는 "다시 한 번 해볼까?" 하며 반복 학습의 기회를 제공합니다.
  • 아이가 규칙을 이해하는 데 시간이 걸리므로 인내심을 가지고 천천히 도와줍니다.

3c245b5bb41810a696eef5c76fc50d12_1739116
부모와 함께하는 협력 활동

부모가 아이와 함께하는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규칙을 익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.

1. 일상에서 규칙 익히기

  • 식사 전 손 씻기, 외출 후 신발 정리하기 등 간단한 생활 습관을 통해 규칙을 익히게 합니다.
  • "이제 손을 씻고 밥을 먹을 시간이야."라고 일관된 패턴을 반복합니다.

2. 가족과 함께하는 놀이 시간 만들기

  • 부모와 함께하는 보드게임이나 역할 놀이를 통해 규칙을 실천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.
  • "이제 아빠 차례야. 기다려볼까?"처럼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누며 아이가 차례를 지키도록 유도합니다.

3. 동요와 이야기 활용하기

  • "곰 세 마리", "깡총깡총 토끼" 같은 동요를 부르며 순서를 지키는 개념을 가르칩니다.
  • 동화책을 읽으며 이야기 속에서 규칙을 따르는 장면을 설명하고 따라 해 보도록 합니다.

3c245b5bb41810a696eef5c76fc50d12_1739116
규칙을 배우는 데 시간이 걸릴 때 대처법

아이마다 규칙을 익히는 속도가 다르므로 부모가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는 것이 중요합니다.

1. 강요하지 않기

  • 아이가 규칙을 따르지 않는다고 강요하거나 혼내지 않습니다.
  • "이렇게 하면 더 재미있게 놀 수 있어!"라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합니다.

2. 아이가 흥미를 보이는 활동부터 시작하기

  • 아이가 좋아하는 놀이를 활용하면 규칙을 배우는 과정이 더 즐거워집니다.
  • 예를 들어, 자동차 놀이를 좋아하는 아이에게 신호등 규칙을 가르치면서 놀이를 진행합니다.

3. 부모가 모범을 보이기

  • 부모가 직접 규칙을 잘 지키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이가 자연스럽게 따라 하게 됩니다.
  • "엄마도 차례를 기다릴게. 이제 네 차례야!"라고 말하며 시범을 보입니다.

3c245b5bb41810a696eef5c76fc50d12_1739116
결론

35개월 아이가 규칙을 이해하는 속도가 느리더라도 다양한 놀이와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습니다. 강요하거나 억지로 가르치기보다는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 즐겁게 배우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부모가 인내심을 가지고 아이가 협력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면, 차츰 규칙을 이해하고 지킬 수 있게 될 것입니다.

Q&A

Q1. 아이가 계속해서 규칙을 무시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?

강압적으로 규칙을 강요하지 말고, 아이가 스스로 깨닫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놀이를 활용하거나 아이가 좋아하는 방식으로 규칙을 설명해 주세요.

Q2. 형제나 친구와 함께 놀 때 규칙을 지키지 않는다면?

"차례를 지키면 더 재미있게 놀 수 있어."라고 설명해 주고, 직접 차례를 지키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자연스럽게 따라 하도록 유도합니다.

Q3. 몇 살 정도 되어야 규칙을 잘 이해하나3c245b5bb41810a696eef5c76fc50d12_1739116

*** 불펌 무단복제 이미지 캡쳐를 금지합니다 ***

,

Comments

글이 없습니다.
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